koonstory

베트남 역사 문화와 유적/베트남 유네스코 +5

Centarl Sector of the imperial Citadel of thang long - Hanoi

탕농 (제국주의)문화지구의 성제 중앙구역

 

 

 


등재년도 2010년






 

관광오면 무조건 들린다는 바딘광장에서 볼때 국회의사당쪽 뒤편으로 위치..

 

Hoàng thành Thăng Long

 

탕롱 ( Thang long: 용이 승천한 자리 ) 제국주의 시대 성채는 다이비엣 의 독립을 기념하여 11세기 리 비엣 왕조 (Ly Viet Dynasty) 가 하노이 홍강 삼각주를 개간한 땅에 건축하였다. 이 삼각주는 7세기에 세운 중국의 요새세기에 건축된 중국의 요세가 남아 있던 유적지였다.




 

탕롱의 성채는 거의 13세기 동안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이지역의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성채 건물과 호앙 지에우 ( Hoang dieu )18 고고학 유적지는 북쪽의 중국과 남쪽의 고대 참파 왕국 (Kingdom of Champa)의 영향이 만나는 홍강 계곡 하류에서 발달한 독특한 동남아시아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이곳은 옛 탕롱 제국주의의 시대 성채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한가운데 있으며 또한 가장 잘 보존된 구역이다. 탕롱의 성채는 다이비엣의 독립을 기년하여 11세기에  리와조가 건설하였다 이성채는 하노이 홍강 삼각지를 개한한 자리이며 물을 배수한 땅위에 건축되었다.

제국시대의 탕롱 성채는 권좌로서의 지속성과 연속성을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사실은 여러 고고학적 기념물과 그 수준으로 입증되고 있다.




 

완전성

 

탕롱의 오랜 역사 속에 이어온 정치적 역활은 고고학적 요소와 탕롱의 성채 구성요소들중 후대에 건설된 요소로 증명되고 있다. 때때로 증거가 소실되어 언제나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것은 아니나 , 건축물의 구조, 유산의 주변 경관 등을 통해 유산의 완전성을 인정할 만하다. 고고학적 흔적 중 호앙지에우18 고고학적 유적지에 대한 연구 그로그램은 고고학적 완전성을 확보하기에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종의 의미는 해석 안함 !! 넘 덥다 오늘!! 직접 다녀들 오시길



사진찍어달래서 한컷 오랜만에 내사진 투척!! ㅋㅋ 이제 늙어서 멀리 배경에 묻어 가는 사진으로...




내 트랜드 포토 "발자취" 인스타 버전!! 사진엔 늘 내 발이!!



 

 

하롱베이 [ Ha long bay ]

 

 

 

 

UNESCO 유네스코 등제 년도 1944년 (2000년 확정)

위치: 베트남 쾅닌( Quang Ninh)성

 

통킹만에 위치한 하롱베이는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로 약 3000천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적의 침을 막기위해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옥구슬을 뿌려 그 침임을 막았고 그 옥구슬이 그대로 바다에 박혀 지금의 아름다운 비경을 만들었다 전해진다.

 

 

 

 

실제 1600여개의 크고작은 석회암 기둥과 섬으로 이루어진 바다경치가 매우 장관이다. 하롱베이는 지형이 험하여 대부분의 섬은 무인도로 이루어저 인간의 영향을 받지않아 순수 자연의 아름다움 간직하고 있으며 또한 생물학적으로도 많은 의미를 두고 있다.

 

 

 

하롱베이는 카르스트(karst) 지형으로 수백만년의 세월동한 바닷물과 풍화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 자연경관이다.

 

하롱베이의 석회암들은 침식 작용을 통해 원뿔형태의 봉우리가 밀집한 펭콩[ Feng cong ] 과 고립된 탑 모양의  펭린 [fenglin] 이란 이름의 카르스트 지형으로 발달하였고 그후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변형되었다. 작은 섬들의 높이가 50미터에서 100미터 사이의 펭린 카르스트 탑이다. 작은 섬들은 사방이 수직으로 솟아있는 모양이며 , 작은 바위 들이 떨어저 나가면서 지속적으로 섬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

 

하롱베이에 바닷물이 들어오면서 석회암 탑 및 측면 하방 침식 (Lateral underrutting) 과정에 주가적인 요소가 추가됨

이로 인해 바위로 된 해안선의 전체에 브이 자형 생김이 만들어진것이다.  V자형 생김은 석회암 절벽의 전 세계적 특징이기도 하지만 하롱베이의 브이자형 새김은 그중 매우 잘 발달된 형태이며 곳곳에 아치형 바위석과 동굴을 만들어 내고 있다, 하방 침식에 일어 일어나는 침식과정을 통해 펭린 카르스트 바위섬은 가파른 외관을 띄게 되었으면 그결과 이지역의 경관은 영속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게 되었다.

 

 

 

 

하롱베이의 두드러진 틍징은 큰 석회암 섬안에 호수가 많다는 것이다. 대규모의 석회암 동굴은 하롱베이의 또다른 중요한 경관으로 꼽핀다. 이곳의 석회암 동굴은 3종류로 나눌수 있다.

1. 지하수층 아래에 형성된 포화대형의 (phreatic ) 동굴 ,

2.  절벽 아랫부분의 칙면 하방 침식에 의해 형성된  오래된 카르스트 지형의 동굴,

3. 심하게 침식되어 파도에 깍인 단처럼 큐모가 축소된 암석의 헤수변에 V자형으로 형성된 동굴

하롱베이는 색다른 지형들과 매우 다양한 동굴들이 있는데 이들은 바닷물이 유입되어 생긴 답 카르스트 라는 특이한 지형들과 매우 다양한 동굴들이 있는데 , 이들은 바닷물이 유입되어 생긴  탑카르스트라는 특이한 지질학전 과정에서 생긴 것이다. 이지역은 복합적 환경 아래에서 카르 스트가 형성된 과정과 지리,기후학적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독특하면서도 광범위한 자료를 갖고 있다. 이곳은 1962년 4월28일 , 문화부에서 발표한 결의안 No.313 VH VP 에 의가해 역사적 문화유적 및 자연경관 지역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