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onstory

베트남 역사 문화와 유적/베트남 유네스코 +5

후에 복합지구 [Complex of Hue Monuments]

 

1993년 유네스코등제

투아티엔 후에 ( hue )

 

 

 

 

후에는 1802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1945년까지 응우옌 왕조의 정치적 문화적 종교적 중심지였다. 이중세 도시에는 흐엉강이 있다. 흐엉강은 수도 kinh thanh, 제국의 도시  hoang thanh, 투캄탄 쯔진성을 본떠만든 궁전 도심지 doi noi 등을 가로질러 유유히 흐르면서 전체에 독특한 자연미를 만들어준다.

 

후에는 19세기 초 부국했던 베트남의 봉건제국의 힘을 볼수 있는 곳이다.

후에 기념물 지구는 동부 봉건 수도의 전형을 보여준다. 특히.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 완벽하게 방어적인 수도를 설계하고 건설한 사례이며, 나중에는 도시 구조와 건물설계의 성전성으로 인해 후기 봉건 도시 계획의 표본이 된다.

 

후에는 17세기18세기 베트남 남부의 행정 중심지였다. 응우엔 왕조의 첫통치자인 지아롱 Gia long (1802~1820) 황제는 1802년 이공을 통일 베트남의 수도로 삼았다 1945년 해방까지 수도로서의 입지가 유지되었다. 후에는 지리적으로 베트남의 중신에 있으며 해상 진출이 유리하여 수도로 선전되었다. 새로운 수도가 된후에는 고대 동야얼학과 베트남 전통에 따라 설계되었다.

 

특히 흐엉강과 응우빈 산(황제의 장막으로 알려져 있음 ) 의 자연적 조건을 중시하여 설계되었다, 5가지 기본 방향(동서남북과 중앙) 5가지의 기본색 (노란색, 흰색, 파랑색, 검정색, 붉은색) 사이의 관계가 도시에 나타나 있으며 일부 중요한 시설의 명칭에 반영되었다. 중심축인 흐엉간은 수도를 두 지역으로 분리한다.

 

수도는 행정건물을 보호하는 킨탄 (수도)  황궁과 사당을 보호하는 호앙탄 (제국의 도시) 황실 주거지를 보호하는 투캄탄 다이노이 (도심지) 그리고 강위의 움직임을 토제하기 위하여 수도 북동쪽 구석에 주가 방어 시설로 세운 트란 빈다이 등의 성채 또는 방어 성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섯번째 요새인 트란 하이탄 은 해상곡역으로 부터 수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조금 나중에 건설되었다.

 

수도설계는 1803년 부터 1805년까지 이루어졌으나 1832년에야 건슬이 완료 되었다.

세부적인 설계는 성채 건축 전문가였던 육군 사령관 응우엔 반엔 (Nguyen Ven Yen ) 이 맡아서 진행하였다. 새로 수도가 된후에는 이전의 수도였던 동트랑보다 규모가 훨씬 컸으며 수도안에 몇 개의 마을새도 포함되어 있었다. 요새는 동남아시아 최초롤 보방 (Vauban) 의 유럽양식을 표방하여 건설되었으나 1885년 1947년, 1968년 에 있었던 군사작전 결과 많이 회손되었다.

 

수도의 주 성곽은 각 변이 2,235미터인 정사각형 모양이다 방어벽에는 각변과 10개의 성문 벽볍에서 돌출된 보루가 6개 있다. 외부 방어 시설은 성벽아래의 좁은 통로와 해자 해자 바깥쪽의 비스듬한 제바응로 이루어져 있다 수도 안에 있는 건물로는 여러 개의 관청 건물 왕립 대학 후에 박물관등이 있다 도심지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해자와 럾은 통로가 있는 벽돌 성벽으로 방어된다. 성벽마다 성문이 하나씩 있다.

 

내부에는 금단의 황제 ( 투캄탄 왕실거주지 ) , 대례 ( Great Ceremonies ) 구역 , 제사구역 , 왕의 어머니와 할머니가 사는 주거구역, 창고와 작업구역 정원과 왕세자들을 위한 학교구역 등으로 나위어 있다. 도심지의 황궁들은 이양식이나 디자인이 서로 비슷하다. 즉 기단위에 세워졌고 목제 트러스 경질목제를 사용하였으며 금박을 입히고  채핵한 기둥이었다.

 

ㅅ가래가 지붕을 받치고 있고 벽돌로 벽을 쌓았으면 노랗거나 파란 광택의 원통형 기와를 얹었다. 지붕의 가장자리는 직선이며 내부 및 외부 장식은 화려하게 꾸몇다. 주요 건물에는 황제의 업견실인 태화국, 황제의 제사지내는묘 사원, 태후궁 눈부신 자비의 정자 등이 있다.

 

이복합단지 중심은 검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금단의 황제 도시가 있다.

성벽 정면에는 왕의 전용문이 있으며 다른 성벽에는 닥닥 다른 목적을 가진 문이 있다. 처음에는 성벽안에 40채 이상의 건물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페허가 되어 언물 기초만 남아 있다.

 

수도 밖에도 중요한 기념물이 있는데 이중 흐엉강 남쪽에는 응우옌 왕조의 무던이 있다. 강둑을 따라 문뵤 태양시놔 지신에게 재물바치러 가는길 황제의 극장 코끼리 사원 천녀탑 등의 왕실의 정신적 생활과 관련된 건물들이 있다.

 

 

 

복합단지의 중심에는 검은 성벽으로  

'베트남 역사 문화와 유적 > 베트남 유네스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손 유적지 [My Son Sanctuary]  (0) 2016.04.10
탕롱 문화지구 - hanoi  (0) 2016.04.09
Halongbay[하롱베이]  (1) 2016.04.09
하롱베이 관광하기  (0) 2015.10.04

미손 유적지 [My Son Sanctuary]

 

유네스코 등제년도:1999년

 

쿠앙 남 성 ( Quang nam Province ) 두이 쥐엔 ( Duy Xuyen District ) 다낭에서 택시든 버스든 타야겠죠. 저도 아직 못가봤네요. 올여름 꼭 다녀오려합니다.

 

 

 

 

미선 유적은 참파 왕국이 동남아시아의 정치적 문화적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또한 인도 대륙의 히두교 건축이 동남아시아에 들어오면서 문화적 교류가 있었다는것도 알수있다. 산으로 둘러싸인 미손은 참파왕국의 종교적 중심지이자 수도가 들어설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유적 구역에는 베트남에서 가장 유명한 참파 건축술과 기념비적인 조각 건축물이 있다.

 

미선에는 8개의 탑 사원이 남아 잇어 이곳이 고대 정착지이자 유적이 있었던 곳임을 알수 있다. 사원들은 10세기 에서 13세기 까지 오랜 기간에 걸처 세워졌기 때문에 다양한 건축양식이 나타나 있다. 탑 사원은 모두 구운 벽돌로 지었고 둘기둥이 있으며 얕은 돌에 새김으로 힌투 신화를 묘사한 사암을로 장식 했다.

 

주탑 kalan 은 우주의 중심에 있는 신성한 산 meru 를 상진한다. 인간 세계를 표현한 정사각형이나 직각형의 모양의 기단 bhurloka 은 벽돌이나 돌 블록으로 만들었으며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그위에 전용 기둥이 있고 동쪽으로 가짜 문이 달려 있으며 전체가 벽돌로 쌓은 주탑이 솟아 있다.

 

내부 장식으로는 등잔을 내놓은 작은 벽감들이 있으며 소박하다 시바링검 Shivalingam 이 중앙의 대좌에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영적 세게를 형상화 한것이다. 탑들은 프리즈 [ frieze :띠모양의 장식 ] 으로 지붕과 분리되었다.

이와같은 양식의 지붕들은 원래 금박이나 은박으로 덮여 있었다. 미선 사원의 건축 및 조각 장식의 주요 양식은 인도에서 직접 전해졌다.

 

역사적으로 참파왕국은 투옹람 [ Tuong Lam ] 지역 사람들이 중국 지배에 항거하여 서기 192년에 베트남 중부 해안에 있는 좁은 띠 모양의 지역에 독립 국가를 세운것에서 시작 되었다. 이왕국은 중국 기록에 의해 알려젔다.

기록에는 람압 Lam Ap 오안 유옹 Hoan Vuong 참족의 도시를 뜻하는 참파푸라 Champapura 의 음독인 치엠탄 Chciem Thanh 등의 이름으로 나타나 있다. 참 (Cham) 족의 경제는 수도작 농업 어업 해상 무역 기반이였다.

 

참족은 발전 초기 인도 대륙에서 들어온 힌두교의 영향을 받았는데 정확한 연대는 알수가 없다. 이시기에 많은 사원이 세워져 크리슈나와 지슈누 특히 시바와 같은 힌두교 신들에게 바쳐졌다. 이후 4세기 무렵 대승불교 (Mahayana Buddhism ) 가 유입되면서 참파왕국의 북부 지역에 확고하게 뿌리내렸지만 국교로 는 시바 힌두교가 남았다.

 

참파왕국에는 두개의 신성한 도시가 있었으며 각도시에는 큰 씨족의 소유였다. 미선 (베트남어로 아름다운 산 이란는 뜻의 이름) 은 신화속의 왕인 스리사납하드레스바라 ( Srisanabhadresvara ) 를 송배하며 참파 왕국의 북부 지역인 아마라 바티 지역을 다스리던 두아 족에세 신성한 곳이었다. 미선은 참파왕국 전체의 수도였다.

 

미선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면서 한편으로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위치로인해 방어하기에 용이한 요새로서 전략적 중요성도 가지게 되었다. 6세기에서 8세기에까지 왕들이 연이어서 미선을 선호하여 이속에 훌륭한 사원들을 지었다.

카우족은 749년부터 875년까지 권력을 잡아 한동안 수도를 영토의 남쪽인 비바푸라로 옮겼다. 하지만 미선은 종교적 중요성이 유지되었고 중국 및 크메르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나라바르만 1세 가 통치하면서 다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힌두교가 언제나 강세였던 미선의 영향으로 10세기초 불교의 영향력이 약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0세기말 지아랴 심하바람이 통치할때에는 미선의 종교적 위치가 참파왕국에서 불교와 동등한 지위였다. 미선에 남아 있는 최고의 건축 기념물들은 대부분 10세기 말인 이때 건축된 것이다.

 

11세기는 전쟁인 잦았고 미손과 참파왕국의 여러 성지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그후 하리바르만 4세가 왕국에 평화를 가져왔으며 그는 11세기말에 수도를 도반으로 옮기고 미선을 복원하기 시작하였다. 지야 인드라 바르만 4세는 12세기에 크메르 제국을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켰다.

하지만 크메르가 반겨ㄱ함에 따라 1190년 부터 1220년까지 참파왕국은 크레르에게 점령당하였다. 참파왕국은 13세기 부터 서서히 쇠퇴하였으며 점점 강대해지던 베트남에 흡수되었다. 15세기말이 되자 참파왕국의 실체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며 미선에서의 숭배도 중단되었다.

 

미손유적은 인도 대륙의 힌두교 건축이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되면서 문화적 교류가 있었다는것을 보여준다.

미손유적은 참파 왕국이 동남아시아의 정치적 문화적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였다는 것을 생생히 알려준다.